분류 전체보기
-
을축일주[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3. 19. 17:14
60갑자의 두번째... 을축일주 1. 을목, 축토....을축일주 을의 자의는 새이고 축의 자의는 소입니다. 을축은 소가 하늘의 새를 바라보고 있는 형상입니다. 2. 을의 기운이 땅으로 내려오면 묘목입니다. 초봄의 기운을 상징하면서 바람에 살랑거리는 풀의 형상. 을축은 소丑가 바람에 살랑이는 풀乙을 뜯어먹는 모양이기도 합니다. 소는 풀을 뜯어먹을때도 쉬지않고 되새김질을 합니다. 부지런함. 근면성실한 사람의 모양입니다. 3. 소위에 풀을 지고 있으니 소가 등에 짐을 지고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합니다. 한겨울 언 땅을 뚫고 나오는 인동초의 모양으로 보기도 하고요 축축한 흙, 바위에 붙은 이끼의 모양으로 보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축토는 자수 다음의 글자인데 자수는 일양지처이니 땅속, 껍데기 속에 ..
-
-
-
-
갑자일주 - 두번째[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3. 13. 10:29
11. 갑자일주에서 배우자궁이 子 라는 것은 밤의 기운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한밤중에는 남녀간에 은밀한 일이 일어나지요 자子를 물의 형상으로 비교해보면 亥의 상대개념으로 작은 물, 흘러가는 물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배우자가 고여있지 않고 흘러간다는 의미입니다. 배우자가 밤의 은밀한 기운이고 흘러간다.... 갑자일주 여자는 남자의 유혹에 잘 넘어가기 쉽다는 의미이고 갑자일주 남자는 주색으로 인해 문제가 생길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12. 요즘 세상에는 무의미한 이야기 이겠지만 갑자일주 여자의 경우 살아가면서 여러명의 남자를 거칠수 있다는 것이겠지요 또한 결혼후에는 배우자가 다른 여자에게 넘어갈 수 있다.... 13. 갑자일주의 子는 왕지이고 목욕지입니다. 목욕지는 말 그대로의 의미를 내포하고..
-
-
-
갑자일주[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3. 12. 00:58
갑자일주 甲子 1. 갑은 갑을병정무.....천간의 시작하는 글자이고 자는 자축인묘진사....지지의 시작하는 글자입니다. 갑자일주의 두글자는 천간이나 지지에서 각각 시작하는 우두머리 글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두머리이니 성격이 고집불통이고 타협하거나 자존심을 굽히는 일은 없습니다. 스스로 인정하기 이전에는 강제로 굴복시키려 하거나 설교하듯이 하여 행동을 바꾸고자 하면 오히려 반발만 할뿐입니다. 2. 갑甲은 나무이니 땅에 뿌리를 내려야 합니다. 갑목은 子에 자리하고 있는데 자수子는 자오묘유, 장생지이므로 대장이니 자수 본인이 대장이 되지 남, 갑목의 지시를 받고자 하지 않습니다. 수생목이지만 자수는 갑목을 잘 생하지 못합니다. 그러니 답답한 현상이 일어납니다. 3. 그러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