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일반]/[명리학기초]
-
병인일주[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4. 15. 09:54
1. 병화는 하늘에 떠있는 태양이고 인목은 나무입니다. 태양이 나무를 키우는 모양입니다. 태양은 밝고 활발합니다. 병인일주는 밝고 쾌활합니다. 2. 丙이 밝은 빛으로 寅을 키워 인도하는 모양이니 기르고 양육하는 행위, 상담자, 교육자를 직업으로 많이 씁니다. 교육과 인연하지 않더라도 누군가 가르치는 것을 좋아합니다. 3. 인은 나무이기도 하지만 푸른 숲, 벌판의 모양이기도 합니다. 넓은 숲을 비추는 모양이니 많은 사람과 교류하며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3-1 이는 동시에 사람들의 눈에 띌 일을 많이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 비밀이 없습니다. 연애에 있어서도 말이지요. 최근 뉴스에 나온 혜리님도 이러한 경우입니다. 혜리님이 병인일주입니다. 갑술년 경오월 병인일 임진시... 이런 성향탓..
-
을축일주 - 두번째[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3. 25. 09:09
을축일주 두번째. 11. 을이 축을 깔고 있으면 복성귀인에 해당합니다. 복성귀인이라함은 글자그대로 복을 주는 별이라는 의미입니다. 누구든 배우자로 들어오면 그로인해 본인이 재물과 복을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12. 복성귀인은 갑이 좌하에 인을 두거나 (갑인) 을이 좌하에 축을 두거나 (을축) 병이 좌하에 자를 두거나 (병자) 정이 좌하에 유를 두거나 (정유) 무가 좌하에 신을 두거나 (무신) 기가 좌하에 미를 두거나 (기미) 경이 좌하에 오를 두거나 (경오) 신이 좌하에 사를 두거나 (신사) 임이 좌하에 진을 두거나 (임진) 계가 좌하에 묘를 두거나 (계묘) 하면 해당하는데, 복성귀인은 수명과 복을 주는 길신에 해당하니 사주에 복성귀인을 두고 있으면 장수하고 부귀를 누린다고 보기도 하고 적어도 망하지는 않..
-
을축일주[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3. 19. 17:14
60갑자의 두번째... 을축일주 1. 을목, 축토....을축일주 을의 자의는 새이고 축의 자의는 소입니다. 을축은 소가 하늘의 새를 바라보고 있는 형상입니다. 2. 을의 기운이 땅으로 내려오면 묘목입니다. 초봄의 기운을 상징하면서 바람에 살랑거리는 풀의 형상. 을축은 소丑가 바람에 살랑이는 풀乙을 뜯어먹는 모양이기도 합니다. 소는 풀을 뜯어먹을때도 쉬지않고 되새김질을 합니다. 부지런함. 근면성실한 사람의 모양입니다. 3. 소위에 풀을 지고 있으니 소가 등에 짐을 지고 있는 모양으로 보기도 합니다. 한겨울 언 땅을 뚫고 나오는 인동초의 모양으로 보기도 하고요 축축한 흙, 바위에 붙은 이끼의 모양으로 보기도 합니다. 그러니까 축토는 자수 다음의 글자인데 자수는 일양지처이니 땅속, 껍데기 속에 ..
-
갑자일주 - 두번째[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3. 13. 10:29
11. 갑자일주에서 배우자궁이 子 라는 것은 밤의 기운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한밤중에는 남녀간에 은밀한 일이 일어나지요 자子를 물의 형상으로 비교해보면 亥의 상대개념으로 작은 물, 흘러가는 물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배우자가 고여있지 않고 흘러간다는 의미입니다. 배우자가 밤의 은밀한 기운이고 흘러간다.... 갑자일주 여자는 남자의 유혹에 잘 넘어가기 쉽다는 의미이고 갑자일주 남자는 주색으로 인해 문제가 생길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12. 요즘 세상에는 무의미한 이야기 이겠지만 갑자일주 여자의 경우 살아가면서 여러명의 남자를 거칠수 있다는 것이겠지요 또한 결혼후에는 배우자가 다른 여자에게 넘어갈 수 있다.... 13. 갑자일주의 子는 왕지이고 목욕지입니다. 목욕지는 말 그대로의 의미를 내포하고..
-
갑자일주[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3. 12. 00:58
갑자일주 甲子 1. 갑은 갑을병정무.....천간의 시작하는 글자이고 자는 자축인묘진사....지지의 시작하는 글자입니다. 갑자일주의 두글자는 천간이나 지지에서 각각 시작하는 우두머리 글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두머리이니 성격이 고집불통이고 타협하거나 자존심을 굽히는 일은 없습니다. 스스로 인정하기 이전에는 강제로 굴복시키려 하거나 설교하듯이 하여 행동을 바꾸고자 하면 오히려 반발만 할뿐입니다. 2. 갑甲은 나무이니 땅에 뿌리를 내려야 합니다. 갑목은 子에 자리하고 있는데 자수子는 자오묘유, 장생지이므로 대장이니 자수 본인이 대장이 되지 남, 갑목의 지시를 받고자 하지 않습니다. 수생목이지만 자수는 갑목을 잘 생하지 못합니다. 그러니 답답한 현상이 일어납니다. 3. 그러니 ..
-
무신일주[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3. 7. 20:43
무신일주. 60갑자중 45번째 천간은 무토이고 지지는 신금입니다. 천간은 양토이고 지지 또한 양금입니다. 토생금, 자연스러운 모양 입니다. 일지는 식신입니다. 식신은 식복입니다. 식복을 타고났다는 말이구요 식신은 또한 자식입니다 자식복 또한 타고났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신금은 숙살지기, 단절의 의미입니다. 자식이 재물의 모양으로 있으니 자식이 성장하여 금전적으로 도와주는 일이 있을 것이라는 것이지 자식이 함께 동거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배우자가 들어설 자리에 식신이 있다는 의미이니 세운의 흐름중에 배우자와의 관계가 갑자기 안좋아 질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신금의 자의는 원숭이 입니다. 서유기의 손오공은 원숭이 입니다. 원숭이는 재주가 많고, 재빠릅니다. 변화에 능숙한 모양입니다. 변화에는 능..
-
지지 12글자의 물상[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2. 15. 11:17
■ 자(子) : 양수(陽水) 쥐과 동물, 밤, 물, 바다, 강, 하천, 매립지, 자정, 얼음, 비, 구름, 수도꼭지, 바늘류, 남근, 정자(精子), 주류, 국물, 음료수, 침, 막대기,자궁, 염증, 종기, 소변, 땀, 눈물, 설사, 피고름, 혈액, 종양 등 ■ 축(丑) : 음토(陰土) 소과 동물, 논밭, 산, 습지, 지하실, 지하굴, 터널, 묘지, 하수구, 화장실, 화장품, 물통, 우유·유류·주류 창고, 호수, 물밑, 잇몸, 갈비뼈, 거북이, 소갈비, 그릇, 구멍, 섬, 담, 암초, 바위, 벽, 레미콘 배합,진흙, 황토, 위장, 비장, 치질, 염증주머니, 위염, 혈관, 종양주머니,복부, 자궁, 질내, 냉증, 항문, 입안 등. ■ 인(寅) : 양목(陽木) 고양이과 동물, 초목, 나무, 통나무, 목재, 나무..
-
천간 10글자의 물상[명리일반]/[명리학기초] 2024. 2. 14. 22:09
천간(天干) 10글자의 물상 ■ 갑(甲) : 양목(陽木) 갑(甲)은 보이지 않는 기(己)를 암장(暗)하고 있다.땅에 심은 나무, 통나무, 대들보, 건축용 장식용 목재, 가구, 씨앗,곡물류, 간, 담, 손, 발, 눈, 허리, 정신신경, 얼굴, 머리 등. ● 을(乙) : 음(陰木을(乙)은 보이지 않는 경(庚)을 암장(暗藏)하고 있다.초목, 화초, 넝쿨나무, 가공된 면직물, 지물류, 의류, 조류, 어류, 곡물류, 한약재, 간, 담, 눈, 뇌, 목, 뒷골, 허리, 목 뒤, 심장, 손, 발 등. ■ 병(丙) : 양화(火) 병(丙)은 보이지 않는 신(辛)을 암장(暗藏)하고 있다. 태양, 하늘, 불, 열기, 화산, 엔진, 자동차, 전자, 전기,통신, 광선, 철금속, 물질을 녹이는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