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주 보는 방법 - 도계 박재완[명리일반]/[도계 박재완] 2022. 4. 26. 14:28728x90
사주 원국을 어떻게 읽어낼 것인가.도계 박재완선생님은 명리요강에 다음과 같이 적어 주셨습니다.
(명리요강은 1974년 처음 출간된 책입니다. )
간명대요
운명 보는 법은 먼저 팔자를 정하고 일주 외에 연상과 월상과 시상의 천간이 일주를 생하거나 극하거나 일주를 설하거나 함을 살핀다.
비겁이 많거나 인성이 많으면 일주가 왕(旺)한 것이요, 재성이나 관성이나 식상이 많으면 일주가 약한 것이니 천간 4자로 일주의 왕약을 정하고, 다음 월령과 일주와의 쇠왕(衰旺)을 보고, 또 좌하와 일주 간의 쇠왕을 본 뒤에, 연지와 시지는 부속으로 이해점을 살핀다.
반회국도 삼합과 같이 보는데 회국은 양간을 사용하라. 월건과 일주와의 사이에 쇠왕을 살필 때에 절기의 심천을 잘 분석하라. 가령 입춘으로부터 우수 전은 한춘(寒春)이라 갑목이 약하니 병화는 자연 따라서 약하고, 우수 후는 화춘(和春)이니 갑목이 왕하므로 병화도 자연 왕하다
천간과 지지를 합하여 일주의 왕약을 정하고 절기의 심천을 보아 판정한 다음에 일주가 왕하면 관성이나 재성을 찾아서 용신을 삼고, 일주가 왕한 중에 상식이 약하면 상식으로 용신을 삼으며 일주가 약하면 인성이나 비겁으로 용신을 삼는데, 인성이 용이 될 때에는 재성을 꺼리고 비겁이 용이 될 때에는 관성을 꺼리니, 대운도 일반이다. 일주가 왕한중에 천간으로 일점 합이 있으면 또한 종화격도 된다.
일주가 태약하면 본신을 버리고 종하는데 신약살왕하면 종살이 되고 신약재왕하면 종재가 되며 신약에 상식만 태왕하면 종아격이 된다. 종격은 종하는 신의 왕운과 종신을 생하는 운이 길하고 설기순세하는 운도 길하다. 일점 재성이 없고 전국이 인성이면 종인격이라고 하는바, 모왕자고(母旺子枯)라 하기도 하니, 특히 종인격은 순세하는 비겁운이 길하다. 만약 전국이 신왕으로 되고 타신의 용이 없으면 이것은 전왕격이 된다.
약자가 생함과 보호를 받든지 왕한 자가 극함과 제함을 받거나 설기하여 원기를 덜어 주면 이것은 병자가 약을 얻은 것과 같아서 자연 중화되어 길한 격국이 된다.
병자가 약을 얻지 못하면 중화가 되지 못하여 불길할 것은 물론이다. 특히 왕약을 물론하고 하절(夏節)에 생한 사주가 수(水)로 용신이 되어 금수운을 만나면 대길하고 동절에 왕한 사주가 화로 용신이 되어 목화운을 만나면 대길하다.
명리요강 1974.07.01.728x90'[명리일반] > [도계 박재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 간명 방법 (2) 2024.02.29 여성의 사주를 보는 방법 - 도계 박재완 (0) 2022.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