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에 관한 뷰 (사마의 님)[잡설들] 2022. 5. 9. 21:13728x90
(중국에 대해 다른 사이트를 가지고 계신 분입니다.)
(요즘 대부분 사람들은 중국에 투자하는 것을 망설이고 있습니다.)
(규제의 이면에는 성장의 기회가 있습니다. 시장이 비관적일 때가 오히려 투자해야 하는 타이밍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https://www.capitalgroup.com/pcs/insights/articles/investing-in-china-today.html
캐피탈그룹의 중국에 대한 투자 관점입니다.
가장 첫 줄의 언급이 인상적입니다.
''It’s important to state up front that we don’t believe China is “un-investible” as some have posited following the government’s recent intervention into several areas of the private-sector economy. ''
중국이 투자 불가능한 곳이라는 데에 동의하기 어렵다는 내용입니다.
그럼 중국에 투자할 만한 곳은 어디일까요?
In our view, political investment risk may be reduced by focusing on domestic-oriented companies in China that are aligned with Xi’s policy priorities (i.e., automation, local technology and content, environment, electric vehicles (EVs), health care) and serve to improve people’s lives at reasonable prices and margins.
시진핑 정부의 정책 우선에 부합하는 중국 내수시장에 집중하는 기업 (예) 자동화, 현지 기술, 콘텐트, 환경, 전기차, 헬스케어)과 적절한 가격과 마진으로 사람들의 삶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함으로써 정치적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고 봅니다.
그 다음 아래에서 구체적인 언급을 합니다.
One area of interest is auto dealerships, which are building their brands within China. It’s a basic business but still largely fragmented across China with room to grow, especially in after-sales service. EVs and urban natural gas networks that replace coal are attractive areas that are aligned with the government’s agenda. And, given the aging population, automation and health care remain areas with long-term tailwinds. Other areas of potential growth are national consumer brands in the alcohol and dairy space, which are gaining share and have pricing power.
중국 내 브랜드를 구축한 전기차와 천연가스 인프라, 그리고 고령화에 따른 공장 자동화와 헬스케어가 장기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가격결정력을 갖춘 술, 유제품 소비재 브랜드들 또한 잠재 성장력이 있다고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Given the sheer size of the population, domestic consumer brands don’t necessarily have to target consumers outside China to become successful. Many Chinese consumers are buying their first homes, refrigerators and other household appliances to improve their living standards, and the middle class continues to grow and remains aspirational. This approach also helps shield some investments from getting swept up in U.S.–China trade frictions.
또한 광대한 인구 규모로 볼 때, 내수 소비재 브랜드들은 굳이 중국 밖의 소비자들에 주목할 필요가 없으며 많은 중국 소비자들은 집과 가전 제품 등을 구입할 것이고 중산층은 지속 증가하므로 이런 부분에 주목을 해야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문단의 글들이 인상 깊습니다.
Historically, volatility in China has been a buying opportunity: The problem appears, growth slows, the government comes up with clever tweaks to regulation and policy with more stimulus, the economy stabilizes and the market rebounds. But it seems the playbook has changed, and many of us are waiting to see if more significant stimulus measures happen after the 20th Party Congress.
역사적으로 중국의 변동성은 주식 매수의 기회를 주었다. 문제가 발생하고, 성장이 둔화되면 정부는 영리하게 규제 정책들을 변경하는 동시에 더 많은 경기부양책을 내놓고 경제를 안정화시키며 시장을 반등시켰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전략이 바뀐 것 같고 많은 사람들이 올해 있을 20차 당 대회 이후 더 중요한 경기 부양책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는 것 같다.
The message is clear, in our view: GDP growth is no longer a top priority for China’s Communist Party. We are bracing for more volatility and plan to be more selective about gauging the risk premium for industries and companies. But we continue to look for longer term opportunies amid this market selloff.
우리가 보기에 메시지는 분명하다. GDP 성장은 더이상 중국 정부의 우선사항이 아니다. 우리는 보다 더 많은 변동성을 감내하며 산업과 기업의 리스크 프리미엄을 고려하는데 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계속해서 시장 투매 상황 속에서 장기적 기회를 엿볼 것이다.
<마지막 제 뷰>
투자자의 관점에서 중국 투자를 할 시 중국 내수 시장에 기반을 둔 기업, 그리고 향후에는 본토 주식 시장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의 가치가 장기적으로 크게 올라가리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 정책과 여기에 수혜를 보는 기업들에 주목해야 되며, 중국에 이미 내수 소비재 브랜드로 안착된 기업들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중국의 노이즈에서 놓치는 부분이 과거에도 그랬듯 중국 중산층이 늘어나면 보다 더 프리미엄 내구재와 소비재를 사용할 수 있다는 화두를 놓지 말아야 된다는 부분입니다. 또한 로보택시와 자율주행 등에서 인공지능 관련 기업 역시 개인적으로 더 성장하지 않을까 봅니다.
현재 중국 내수 소비재 기업 중에는 PER이 10배 이하이면서 배당을 주고 ROE가 높은 기업들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소득이 1만불에서 2만불로 가고, 경제성장률이 둔화될 때 즈음 가치주들도 많아지고 그 안에서 큰 수익을 낸 투자자가 많았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될 것입니다.
규제와 구조조정의 이면에는 또다른 투자의 기회가 열린다는 점 역시 놓치지 말아야 할 부분입니다. 그리고 현 시점은 더이상 중국은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인 성장에 포커스를 맞추어 가고 있다는 판단이며 투자 대상 가치도 과거의 성장에서 가치로, 그리고 향후 시간이 길게 지나면 퀄리티 성장으로 거듭나는 국면이 오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나 더 첨언하면 서부 개발은 이제 시작입니다.
- 사마의
#캐피탈그룹
#중국728x90'[잡설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는 몸에 나쁘지 않다. (0) 2022.05.24 텐베거 찾는법 (0) 2022.05.14 Daniel Lee 님의 글 (0) 2022.05.13 재정 지출의 확대와 긴축적 통화 정책 (0) 2022.05.09 찰리 멍거가 말하는 투자철학 (0) 2022.05.02